경영자를 분류하는 기준엔 무엇이 있을까요?

 

소유와 경영의 분리 관점, 계층에 따른 관점 이 두 가지의 기준으로 경영자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경영자 = 관리자를 의미합니다!

 

 

1. 소유와 경영의 분리 과점에서 경영자의 구분

 

ⓐ소유경영자

    소유경영자란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은 채 자본가 직접 경영하는 경영자입니다. 이 관점의 경영자는 투자자인 동시에 직접 경영도 하는 형태입니다.

ⓑ고용 경영자

   기업이 커지고 그에 따라 경영규모가 확대되어 복잡해지면서 1인의 경영자(소유경영자)가 모든 경영업무를 관장할 수 없게 됨에 따라 고용 경영자에게 자신의 업무의 일부를 분담시키는 형태입니다. 이때 고용 경영자는 고용된 경영자를 의미합니다.

ⓒ전문경영자

   앞선 이유와 마찬가지로 기업이 커지고 조직이 늘어나면서 각 부문별 기능이 고도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필요로 하게 됨에 따라, 경영활동에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고 전문경영 과정을 이수한 '전문경영자'의 형태가 등장하게 됩니다. 그러나 전문적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경영자를 고용할 땐 굉장히 큰 비용이 들게 됩니다.

 

2. 계층에 다른 경영자의 구분

 

ⓐ최고경영자(top manager)

   최고경영자란 기업의 최고층에 있는 경영자로 흔히 CEO라고 말하며 부사장 등의 직위를 가지고 있는 경영자를 의미합니다. 이들은 기업 전반적인 운영에 막대한 책임을 가지고 있으며, 기업의 전략목표를 설정하고 목적 달성을 위한 계획, 조직, 지휘, 통제 활동을 수행합니다.

ⓑ중간 경영자(middle manager)

   중간 경영자랑 하위 경영자와 최고경영자 중간에 위치하며 이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대표적으로 지사장, 사업부장 등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최고경영자를 도와 그의 전략이 수행될 수 있게 하위 경영자에게 구체적인 계획과 행동지침을 설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위 경영자(first-line manager) = 일선 경영자

   하위 경영자는 작업을 담당하는 종업원(근로자)들의 작업과 활동을 감독하고 기업의 자원을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경영자들입니다. 이들은 단기적인 계획과 활동에 초점을 맞춰 구체적인 시간계획, 운영계획 등을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림으로 설명하자면, 저런 피라미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위쪽으로 갈수록 비정형적인 의사결정을, 아래쪽으로 갈수록 정형적인 의사결정을 하게 됩니다.

 

 

각 경영자가 가지고 있어야 하는, 필요 능력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사회심리학자인 로버트 카츠(Robert L. Katz)는 이에 대해 '역량모델'을 제안합니다.

 

출처: HSG 홈페이지

ⓐ개념화 능력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를 사용하는 능력, 문제에 대해 통찰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능력 등을 의미합니다. 이 능력은 상위계층(최고 경영자) 일 수록 더욱 요구됩니다.

 

ⓑ대인관계 능력(인간적 능력) : 조직 내 동료, 상사, 부하에 더하여 조직 외부의 사람들에게까지 인간적 신뢰를 얻고 이들의 자발적인 노력과 협조를 이끌어내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 능력은 모든 계층(최고 경영자, 중간 경영자, 하위 경영자)에게 요구됩니다.

 

ⓒ기술적 능력 : 경영자가 갖추어야 할 전문적인 지식과 관련된 능력을 의미합니다. 특히 자신의 분야(직무)와 관련된 전문지식을 요구하는 것이며, 하위계층(하위 경영자) 일 수록 더욱 요구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