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Henry Ford)와 페이욜(Fayol), 베버(Max Weber)의 고전적 경영이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포드의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conveyor belt system)

 

표준화를 통한 대량생산방식 : 포드는 생산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표준 제품을 정하고 그것을 대량 생산하는 방식을 고안했습니다. 이때 표준품(T형 자동차)를 제조하기 위해 부분품의 standardization(규격화), 제품과 작업의 단순화(simplification), 제조공정의 전문화(specialization)이라는 3S 개념을 정립하였습니다. 또한 작업자는 각자의 자리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물이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게 하여 노동량을 최소로 줄이는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포디즘(Fordism) : 포드가 생각한 기업의 경영은 '대중에 대한 봉사활동'으로 생각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런 생각을 상품 가격을 인하하고 임금을 인상하는 '저가격-고임금 원리'를 통해 실현하였습니다.

 

포드의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의 문제점

직원을 마치 기계의 부속품으로 간주하는 것 아니냐 등의 인간성에 대한 비판, 대량생산의 한계로서 차별화가 어렵다 문제를 지적받았습니다.

 

 

  • 페이욜의 관리일반이론

페이욜은 기업활동을 여섯 가지 활동으로 구분하고, 기업의 규모에 맞게 14가지 원칙에 따른 관리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조직 전체의 관리에 관심을 두었습니다.

 

기업활동 : 기업의 규모/복잡성에 상관없이 무조건적으로 필요한 본질적인 기능입니다.

                

                 ①기술 활동②영업활동③재무활동④보전활동⑤회계 활동⑥관리 활동

 

▶⑥관리 활동 : 계획, 조직, 지휘, 조정, 통제의 활동으로 구분됩니다.

 

 

 

  • 베버의 관료제론

베버는 조직이 합리적, 법적인 권한에 기반해 운영되는 '관료제 조직'이 가장 효율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관료제의 특징

계층에 의한 관리 : 조직 내 hierarchy(위계서열)을 중시합니다.

분업화

문서화 : 문서로서 규칙, 절차를 공식화합니다.

능력주의 : 혈연, 지연이 아닌 오직 '공식적인 시험'을 통해 관료를 선발합니다.

사람과 직위의 분리 : 관료는 소유자가 아닌, 직업으로서의 전문경영인이다.

비개인성 : 관직은 관료의 유일한 직업으로, 공적인 일과 사적인 일을 반드시 구분하여야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