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적 이론 후에 나타난 이론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바로 '신고전 이론' 다른 말로는 행위 이론이라고도 합니다.

 

신고전 이론은 고전적 경영이론과는 다르게 인간을 '비합리적이며 사회적인 존재'로 보고 있습니다. 인간을 관리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인격이 있는 심리적인 특성을 가진 주체적인 존재라고 본 것입니다. 특히, 이 이론은 '호손 실험'을 통해 본격적으로 전개됩니다.

 

 

  • 인간관계론(human relations approach)

 

하버드 대학의 메이요(E. Mayor)와 리슬리스 버거 교수를 중심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이들은 호손 공장에서 실시된 몇 가지 실험을 통해 이론을 확립하였는데, 1차 조명 실험, 2차 계전기 조립 실험, 3차 면접 실험, 4차 배선작업 관찰 총 4번의 실험을 거쳤습니다.

 

 

<4차 호손 실험>

 

1차 조명 실험 : 실험의 목적은 '조명의 밝기 등이 노동자 작업능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한 그룹은 밝기를 높이고 다른 그룹은 어두운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밝기가 높은 노동자의 능률이 오를 것이라는 예상과 반대로 두 그룹 다 능률이 증가한 결과를 내었습니다. 이는 누군가가 노동자의 작업을 감독/감시를 했기 때문에 결과가 나타난 것이었지만, 실험 연구자는 이를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2차 계전기 조립 실험 : 연구자들은 노동자의 작업능률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시간 단축, 휴식시간 제공, 간식 제공 등을 가지고 실험을 하게 됩니다. 그 결과 노동자의 작업능률은 원래보다 상승하게 됩니다. 그러나 제공했던 것들을 제거하고 원래의 작업조건으로 돌아왔는데도 불구하고 능률은 여전히 높은 상태였습니다. 이때 연구자들은 작업환경뿐만 아니라 노동자들의 감정, 태도가 생산선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3차 면접 실험 : 2차 조립 실험 결과로써 나온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면접을 실시했으며, 최종적으로 노동자들의 감정과 작업장의 조건, 집단의 사회적 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밝혀내게 됩니다.

 

4차 배선작업 관찰 : 이번 실험에서는 생산성이 하위권에 속한 노동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작업장에는 비공식적 조직이 존재하며 이 조직이 생산성과 관련이 있음을 찾아내게 됩니다. 이 실험을 통해 사람이 경제인 이상의 사회적 활동을 하는 존재라는 것을 파악합니다.

 

<호손 실험의 결과>

 

▷비공식적 조직이 존재하며,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사람의 감정, 태도, 사회적 조직, 사회적 관계가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렇게 인간관계론은 인간의 심리적인 상태를 중요하게 여기는 경영기업을 탄생시켰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