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경영학으로 오기까지 경영학은 어떤 발전과정을 거쳤을까요?

 

경영학은 독일, 미국 등 나라의 특성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발전해왔습니다. 그 중 특히 미국 중심 경영학의 역사가 가장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습니다저 또한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되어온 이론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미국경영학의 발전과정을 크게 구분하자면, 고전적 경영이론 - 신고전 경영이론- 근대 경영이론 - 현대 경영이론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사이사이 많은 이론들이 존재합니다.

 

 

 

가장 첫번째인 '고전적 경영이론(classical theory)'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전적 경영이론은 인간의 행동이 합리적, 경제적 동기에 이루어진다는 가정 두고 전개됩니다.

이 이론은 크게 테일러(F.W Taylor)의 과학적 관리법, 패이욜(Henri Fayol)의 관리 과정론, 베버(Max Weber)의 관료제론으로 나뉘고 길브레스 부부, 간트가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을 잇게 됩니다.

 

1. 테일러(Taylor)의 과학적 관리법

 

  테일러는 태업을 비롯한 여러 가지 관리 문제들을 해결할 때 모든 직무에 과학적인 방법을 개발하면 근로자의 생산성과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고 믿어, 과학적 관리법이라는 이론을 제안하게 됩니다.

 

ⓐ과업 관리 : 테일러는 동작연구와 시간 연구를 통해 연구를 시작하였습니다. 가장 먼저, 직무별 요소작업을 세분화&불필요한 동작을 제거하여 One best way 를 찾아내기 위해 동작연구를 실시하였습니다. 또한 시간연구를 통해 표준작업시간을 산출해 작업의 표준화를 이루게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한 노동자가 할 수 있는 작업량을 계산하고 이를 '일일 표준 과업량'이라고 칭하게 됩니다.

ⓑ차별 성과급제 : 앞선 일일 표준 과업량을 기준으로 이를 달성한 작업자에게는 고율의 임금을, 달성하지 못하는 작업자 에겐 저율의 임금을 제공함으로써 '차별 성과급제'를 시도하였습니다.

ⓒ기능식 직장 제도 = 직능식 직장제도 : 테일러는 직무에 분업을 적용해 관리업무에 있어서 전문적인 담당자를 채용하고 각 담당자에게 한 가지의 전문적인 관리 기능만을 담담하게 하였는데, 이를 기능식 직장 제도라고 부릅니다.

ⓓ작업지도표 제도 : 표준적인 작업의 순서, 시간, 동작을 표로 작성하여 직원들을 관리하였습니다.

ⓔ계획부 제도 : 테일러는 생산의 모든 계획을 수립하고 관리하는 '계획부'를 창설했는데, 이는 작업과 계획을 구분하는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1-2.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의 한계

 테일러는 인간을 돈만을 위해 일하는 존재, '경제인'의 관점으로 인식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았습니다. 또한 조직 전체를 통괄하는 경영이론이 아닌 작업자의 작업활동에만 그쳤다는 한계 가지고 있습니다.

 

2. 테일러 이후의 과학적 관리법

 

길브레스 부부(Gilbreth) : 동작의 기호(therblig)를 만들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습니다.

간트(Gantt) : 작업자의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간트 차트와 인센티브 제도를 제안했습니다. 간트 차트란 작업의 계획과 일정 관리 등에 대한 통제(기호 이용)를 알아보기 쉽게 그래프로 표현한 것입니다. 또한 주어진 시간에 초과 작업을 달성한 작업가에는 성과급을 지급하면서 그의 감독자에게도 보너스를 주는 인센티브 제도를 제안했습니다.

 

 

 

+ Recent posts